GimhaeKim.net

   Home   Please use Chrome Browser to Translate a Page, Korean to English or English to Korean

Chat GPT 인공지능  

  Thomas comes to Korea?    

 

 

Home

시조 수로왕과

김해김씨
 

해김씨의 연원

가야 왕국의 역사

 

보주태후 허황후

중조 김유신 장군

김 완 장군

 

김해김씨 세계표

각파및 파조

가야 연대표

학렬과 학렬자

 

이름과 족보

족보에 관하여

족보 용어

족보 보는법

족보의 종류

 

김해김씨 WP

Video 자료 모음

 

참고사이트들

김수로왕 - 우리역사넷

[수로왕비설화]

가야 - 위키백과

가야 - 나무위키

김해김씨 -위키백과

미완의 제국

가야의 미스테리

garakkim.com

김해김씨 족보

족보를 보는방법

 

Sagunpa Data

자료 1

자료
ko.wikipedia.org

garakkim.com

garakkim.modoo

 

 

임시운영자
 

 

 

 

 

 

김해 김씨는 중시조 김유신 이후 148개 파로 나뉘어졌다.

유신의 직계종파는 목경을 중시조로 하는 경파와 그의 아우 익경을 중시조로 하는 사군파, 관을 중시조로 하는 삼현파가 있다.

그중 경파卿派, 사군파四君派, 삼현파三賢派, 그리고 문경공파文敬公派가 가장 많다.

The Gimhae Kim clan was divided into 148 factions after Kim Yu-sin, an Mid-Progenitor. Among them, the Gyeong Pa卿派, the Four Guns sects, the Samhyeons 三賢派, and the Mungyeong Gong sects are the most numerous.

Among them, the direct sects of Yushin are the Gyeongsang sect of Goryeo, with Mokgyeong as the most important sect, the Sagun sect with his younger brother Ikgyeong as the most important sect, and the Samhyeon sect with the Gwan as the most important sect.

 

 

 

역사
가락국의 수로왕(首露王)을 시조로 하고, 흥무대왕 김유신(金庾信)을 중시조로 한다. 아도간, 여도간, 피도간, 오도간, 유수간, 유천간, 신천간, 오천간, 신귀간의 아홉 명의 촌장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 자주색 밧줄에 붉은 보자기에 쌓인 금합이 구지봉에 강림하고 여섯개 황금 알 중에 제일 먼저 나온 아이를 수로(首露)라 하고 가락국의 왕이 되니 김해김씨의 시조가 된다. 이후 후손들이 가락국이 세워진 김해를 본관으로 삼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금관가야는 5세기 광개토태왕의 남정 이후 급속히 쇠퇴하게 된다. 532년(법흥왕 19년) 신라에 투항하여 진골 귀족이 된 가락국의 마지막 왕으로 유신의 증조부가 되는 구형왕(仇衡王)은 신라에 투항함으로써 상등의 작위를 받고, 금관국을 식읍으로 받았으며. 그의 세 아들 중 차남 김무력(金武力)이 신라에서 장군이 되어 관산성 전투에서 큰 공을 세우고 최고의 관등인 각간(角干)을 지냈고, 신라의 한강유역을 차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의 아들 김서현(金舒玄)은 백제와 여려번의 전투에서 공을 세워 대양주도독(大梁州都督)을 지냈고, 고구려 낭비성을 함락시키고 각간(角干)으로 제수 받았으며, 김서현의 딸 문희는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과 혼인하여 문명왕후(文明王后)가 되었다. 김서현의 아들 김유신(金庾信)은 무열왕과 함께 삼국통일의 대업(大業)을 달성한 명장(名將)으로 태대각간(太大角干)에 이르렀고, 사후에 흥무대왕(興武大王)으로 추존되었다. 이후 김해김씨는 신라김씨의 무열왕계와 함께 우리나라 김씨의 양대산맥을 이루면서 명문거족(名門巨族)으로 번성해 왔다. 이런 신김씨의 위세가 쇠퇴한 계기는 780년 혜공왕이 김지정의 난 중에 피살당하는 것으로 무열왕계가 왕통이 단절되고 선덕왕의 내물왕계가 왕위를 잇게 되면서 부터 다른 진골 귀족들로부터도 다시금 경원 당하면서 심지어 6두품으로 추락했다.[9][10]

진성여왕 때에 신라가 혼란하여 김상좌(金商佐)가 왕건에게 위탁해 고려 창업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三重大匡) 개국원훈(開國元勳)에 올른 이래 그 후손들이 문무 명신을 배출한 삼한갑족에 속하며, 고려 시대에만도 정승급 15명을 비롯하여, 명신·공신 10여 명과 장군 8명, 제학 11명 등 숱한 인물을 배출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무오사화(戊午士禍)[11]를 비롯한 정치적 사건들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역대 정승에서도 숙종조의 김우항(金宇抗) 한 사람뿐이었다. 조선시대 유일한, 그리고 최후의 정승이었다.


김해(金海)는 경상남도 김해시(金海市) 일대의 옛 지명으로 낙동강(洛東江) 하구 남서쪽에 위치하여 일찍부터 가락국(駕洛國)의 문화 중심지로 발전하여 왔다. 532년(신라 법흥왕 19) 신라에 병합되어 금관군(金官郡)이 되었다. 680년(문무왕 20)에 금관소경(金官小京)이 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 김해소경(金海小京)으로 바꾸어 양주(良州: 梁山)의 관할로 두었다. 940년(고려 태조 23) 김해부(金海府)로 개칭되었고 임해현(臨海縣)으로 다시 강등되었다가 곧 임해군으로 승격되었다. 995년(성종 14)에 김해안동도호부(金海安東都護府)로 개칭하여 영동도(嶺東道)에 속하였다가 1012년(현종 4) 김해군방어사로 강등되었으나 1018년부터는 의안군(義安郡: 昌原)·함안군(咸安郡)·칠원현(漆原縣: 漆原面)·웅신현(熊神縣: 鎭海)등을 영현으로 삼았다. 1270년(원종 11) 방어사(防禦使) 김훤이 인접지역인 밀성(密城)의 난을 평정하여 김녕도호부(金寧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1293년(충렬왕 19) 현으로 강등되었다. 1308년 금주목(金州牧)으로 승격하였으나 1310년(충선왕 2) 김해부(金海府)로 격하되었다. 1413년(태종 13) 김해도호부로 승격되어 세조 때 진(鎭)을 두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김해군이 되었고, 1918년에 좌부면과 우부면이 김해면으로 통합되었다. 1931년에는 김해면이 김해읍으로 승격되었고 1981년 김해군의 김해읍이 김해시로 승격하여 분리 되었으며 1995년에는 김해군과 통합하여 김해시가 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D%95%B4_%EA%B9%80%EC%94%A8#%EC%97%AD%EC%82%AC


세계도
1 태조왕

太祖王

2 도왕道王
3 성왕成王
4 덕왕德王
5 명왕明王
6 신왕神王
7 혜왕惠王
8 장왕莊王
9 숙왕肅王
10 양왕讓王 탈지脫知
11 세종世宗 무력武力 무득武得
12 서현舒玄
13 흥무대왕

興武大王

유신庾信
흠순欽純
14 삼광三光 원술元述 원정元貞 장이長耳 시득施得 반굴盤屈
15 윤중允中 윤문允文 선 영윤令胤
16 장청長淸 암巖
17 웅원雄元 웅윤雄允
18 경주擎柱
19 성해成海 成垈성대
20 정철挺喆
21 수윤琇胤 옥윤玉胤
22 천수天授 천여天與
23 상좌商佐
24 호浩
25 화재華齊
26 진유振酉
27 승의承意 계의繼意 진의進意
28 천정天精
29 항령恒齡
30 수성洙聖
31 상흠商欽
32 성우成雨
33 일서一曙
34 광국匡國
35 종백宗栢
36 수繡
37 이탁以琢
38 서천瑞天
39 양철陽喆
40 시추是秋
41 진국鎭國 정국定國
42 규상奎祥
43 도협道浹
44 탕우湯雨
45 만서萬瑞
46 사맹師孟
47 상주相宙
48 방직邦直 용직龍直
49 익섬益銛 관管

판도판서공파

版圖判書公派

50 주국柱國
51 절경晢卿 목경牧卿

금녕군파

金寧君派
익경益卿

감무공파

監務公派

분파

김해김씨는 신라김씨의 알지계(閼智系)와 함께 우리나라 김씨의 양대산맥을 이루어 명문거족(名門巨族)으로 번성하여 왔다. 특히 김해김씨는 족세(族勢)가 크게 번창해짐에 따라 148여파로 분파(分派) 되었다. 그 중 직계종파는 김목경을 파조로 하는 경파(京派), 김익경을 파조로 하는 사군파(四君派), 김관을 파조로 하는 삼현파(三賢派)가 있다. 여기에 경파, 사군파, 삼현파마다 각각 세부적인 인물을 중조로 하여 총 24개의 공파로 구분되어 있는 등 계보가 복잡하다.

종파
경파(京派), 금녕군파(金寧君派) - 김목경(金牧卿)[12]
참판공파(參判公派): 김영견(金永堅)[13]
횡성공파(橫城公派): 김영서(金永瑞)
안경공파(安敬公派): 김영정(金永貞)
연천공파(漣川公派): 김첨수(金添壽)[14]
부여공파(夫餘公派): 김증수(金增壽)
참판공파(參判公派): 김익수(金益壽)
의헌공파(毅憲公派): 김예직(金禮直)
아산공파(牙山公派): 김희현(金希賢)
청양공파(靑陽公派): 김말수(金末壽)
통덕공파(德郞公派): 김일수(金一壽)
녕변공파(寧邊公派): 김세권(金世權)
승지공파(承旨公派): 김세준(金世準)
석성공파(石城公派): 김영순(金永純)
호참공파(戶參公派): 김진서(金震敍)
참찬공파(參贊公派): 김달문(金達門)
봉상공파(奉常公派): 김현문(金顯門)
밀직사공파(密直使公派): 김창문(金昌門)
문간공파(文簡公派): 김저(金著)
밀직공파(密直公派): 김수(金秀)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김란(金蘭) [15]
사군파(四君派), 감무공파(監務公派) - 김익경(金益卿)
①생원공파(生員公派): 김련(金鍊)
도총관공파(都摠管公派): 김추(金錘)
②생원공파(生員公派): 김구(金銶)
찬성공파(贊成公派): 김석(金錫)
상서공파(尙書公派): 김감(金鑑)
공간공파(恭簡公派): 김조(金銚)[16]
삼현파(三賢派), 판도판서공파(版圖判書公派) - 김관(金管)[17]
①군수공파(郡守公派): 김건(金建)
선무랑공파(宣務郎公派): 김적(金積)
남창공파(南窓公派): 김현성(金玄成)[18]
참판공파(參判公派): 김맹(金孟)[19]
삼족당파(三足堂派): 김대유(金大有)
둔암공파(遯庵公派): 김의경(金義慶)
문민공파(文愍公派): 김일손(金馹孫)
치오공파(致五公派): 김치오(金致五)
한림공파(翰林公派): 김용(金勇)
진사공파(進士公派): 김순(金順)
녹사공파(錄士公派): 김인(金靭)
진의공파(進義公派): 김현(金鉉)
②군수공파(郡守公派): 김익(金益)
통덕랑공파(通德郞公派): 김무(金武)
천여(天與)계
첨정공파(僉正公派) - 김덕휴(金德休)
진의(進意)계
운은공파(雲隱公派) - 김대진(金大震)
문경공파(文敬公派) - 김탁(金琢)[20]
부사공파(府使公派) - 김근(金瑾)
한림공파(翰林公派) - 김관(金鑧)
충정공파(忠貞公派) - 김구(金玖)
도사공파(都事公派) - 김련(金璉)
승정공파(承政公派) - 김현(金現)
휴은공파(休隱公派) - 김호(金琥)
장사군파(長沙郡派) - 김선(金璇)[21]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 김득하(金得河)[22]
도총관공파(都總管公派) - 김경신(金敬臣)
축은공파(築隱公派) - 김방려(金方礪)[23]
생원공파(生員公派) - 김계인(金係引)
서강공파(西岡公派) - 김계금(金係錦)[24]
퇴은공파(退隱公派) - 김계희(金係熙)
담헌공파(淡軒公派) - 김극검(金克儉)[25]
판윤공파(判尹公派) - 김경보(金敬輔)
상현(商賢)계
판전공파(判典公派) - 김명택(金明澤)
판서공파(判書公派) - 김불비(金不比)[26]
참봉공파(參奉公派) - 김말손(金末孫)
참판공파(參判公派) - 김중손(金仲孫)
좌정승공파(左政丞公派) - 김만희(金萬希)[27]
참봉공파(参奉公派) - 김인서(金鱗瑞)
충정공파(忠精公派) - 김이장(金以障)
승정공파(承政公派) - 김종정(金宗貞)
부호군공파(副護軍公派) - 김천익(金天翼)
판결사공파(判決事公派) - 김을동(金乙棟)
진사공파(眞士公派) - 김문(金汶)
상인(商寅)계
유수공파(留守公派) - 김운(金蕓)
정국(定國)계
판서공파(判書公派) - 김유공(金維公)
부호군공파(副護軍公派) - 김거공(金巨公)
승사랑공파(承仕郞公派) - 김지서(金之瑞)
부정공파(副正公派) - 김평(金平)
양의공파(襄毅公派) - 김경서(金景瑞)
판서공파(判書公派) - 김첨검(金添劍)

 

 

     

 

 

 

English

Story of Origin

 

History of the Gaya Kingdom

 

Progenitor
King Suro

 

Progenitor of 4 Million Gimhae Kim Clan

 

King Suro and Queen Huh
 

Queen Huh

 

Gimhae Heo clan

Mid-Progenitor General Kim

General Kim-wan

Family Tree Table Progenitor to Mid-Progenitor

GimhaeKim Family Tree Table 1-78

Who we are

About Jokbo

  Jokbo.mp3
  Jokbo2.mp3

Genealogy Term

Hangryeol: Dolrimja

Regional origins bon-gwan

Links

 

Suro of Geumgwan Gaya

Gaya confederacy

Geumgwan Gaya

Heo Hwang-ok
Wikipedia

Korea Post

genealogy.inje.ac.kr

Gimhae Kim Jok-Bo

Korean Genealogy

familysearch.org

 

Data English

Video Collections

 

 

 

 

 

Who we are

 

 

Hit Counter

     

This site is to share common family information for members of the Kimhae Kim Clan.

please email to mhk2030@gmail.com for questions or suggestions.

Thank You!